반응형
장애인이란?_장애인 인식 개선
신체의 일부에 장애가 있거나 정신적으로 결함이 있어서 일상생활이안 사회생활에 제약을 받는 사람을 말합니다.
- 선척적으로 장애를 가지고 태어나는 아이들
- 후천적으로 사고나 기타 질병 등으로 장애를 가지는 사람들
장애를 가진다는 것은 먼 나라의 이야기일까?_장애인 인식 개선
먼저 질문에 대한 답은 '아니다'입니다. 우리는 장애인이 될 수 있는 가능성을 항상 가진 채로 살아가고 있습니다. 가장 쉬운 예로 우리는 수많은 사건·사고에 노출된 상태에 있으며 단지 운이 좋았기에 그 상황을 피하면서 지내고 있습니다. 하지만 불행하게도 예상하지 못한 순간에 우리는 장애인이 되기도 합니다. 이것은 본인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다가오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미리 예방하고 대비한다고 해서 모든 것을 막을 수는 없습니다. 그러면 우리는 무엇을 준비해야 할까요?
- 한국에서 1년 동안 100명당 2.8명꼴로 범죄 피해가 발생되고 범죄는 누구에게든 언제나 발생할 수 있다.
하루아침에 1살 지능을 갖게 되다_장애인 인식 개선
1. 사건 내용
"인천 층간소음 흉기 난동 사건"
층간 소음 문제로 위층에 사는 남자가 화목했던 피해자 가족의 집으로 들어와 흉기로 난동을 부렸습니다. 이때 아내는 치명적인 부상을 입어 뇌까지 손상되었습니다. 수술을 받았지만 안타갑께도 아내는 1살 지능을 가진 장애인으로 바뀌게 되었습니다.
2. 장애로 인한 가족의 붕괴
아내는 왼쪽 뇌 기능이 회복되지 않아 오른쪽 몸이 마비된 상태입니다. 치료와 재활, 간병에 약 500만 원의 비용이 필요하게 되었고 대소변을 가리지 못하는 아내를 위해 남편은 생업을 포기한 채 하루종일 수발을 해야만 하는 상황입니다. 사고 당시 딸은 얼굴에 큰 상처를 갖게 되었고 지금은 은둔형 알코올 중독자가 되었다고 합니다.
3. 장애의 무서운 힘
만약, 아내가 장애를 가지지 않았고 가벼운 부상만 입었다면 이 가족은 어떻게 되었을까요? 한 가지 확실한 것은 지금 수준의 불행은 절대 찾아오지 않았을 거라고 확신합니다. 그만큼 장애로 인하여 발생되는 새로운 상황과 문제들은 가족들이 감당할 수 있는 범위를 훨씬 초과한다고 밖에 볼 수가 없습니다. 아내가 장애를 가질 거라고 생각했을까요? 장애를 가지게 되면 가족이 이렇게 될 수 있다는 것을 예상했을까요? 아닐 거라고 생각합니다.
장애인 인식 개선
장애인, 그 가족은 나와 다른 세계에 사는 먼 나라 사람이 아님을 우리는 알아야 합니다. 중학교 때 동창이, 전 회사 동료가 장애아이의 부모가 되어 있을 수도 있습니다. 친척 중에 한 명이 교통사고로 인하여 평생 휠체어를 타야 하는 상황을 볼 수 도 있습니다. 결국, 장애는 내 주변, 우리 주변 가까운 곳에 있음을 알게 될 것입니다. 이런 생각의 변화를 통해서, 장애인에 대한 인식 개선 작업을 조금씩, 조금씩 진행해 나갔으면 하는 바랍니다.
THE BEAUTY OF LIFE!_삶의 묘미
삶의 묘미는 어떤 것일까요? 다양한 주제를 이야기 합니다!
thebeautyoflife.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