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무장애통합놀이터] 장애 아동들도 접근하기 쉽고, 편리하게 놀 수 있는 놀이터 보신적 있으신가요?

오랫동안 사랑하는 사람_(장애인 長愛人) 2023. 5. 12. 03:23
반응형

 

장애를 가진 아동들은
'놀 권리' 마저
보장받지 못하는 현실



 

우리 주변에서 쉽게 볼 수 있는 놀이터, 장애 아동들도 이용할 수 있을까요? 

 

장애 아동들은 놀 곳이 없다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2021년 3월 기준 전국 놀이터는
7만 9,000여 곳 중 무장애·통합 놀이터는 30곳 이하인 것으로 확인

 

경기지역을 포함하여 전 지역에 걸쳐 장애아동이 차별 없는 놀이로 행복한 삶을 누리는 '놀 권리'를 제대로 보장받지 못하고 있다. 장애아동이 불편함 없이 이용할 수 있도록 설계된 놀이터, '무장애·통합 놀이터'가 너무나도 부족하기 때문이다.

 

 

경기지역 현황

 

무장애 놀이터는 장애아동과 비장애아동, 이들의 가족 등 모두가 완전하고 평등하게 놀 수 있는 공간이다.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BF_Barrier Free)을 받아야 한다. 

 

 

어린이날도 못 누리는 장애아동

 

[장애아동 부모님 인터뷰]

"가뜩이나 갈 곳이 없는데 비가 오면 더 힘들죠. 야외 놀이터는 입장 제한이 따로 없지만, 실내 키즈카페는 장애아동을 받아주는 곳이 많지 않아요. 한 번은 키즈카페에서 우리 아이와 비장애 아이가 다툰 적이 있었는데, 카페 관계자가 입장이 곤란하다며 장애 정도를 묻더라고요."

"아이가 미끄럼틀 앞에서 내려가지 않고 주저앉아 버린 적이 있었는데, 장애가 있다며 양해를 구했음에도 불구하고 다른 부모들이 빨리 데리고 내려가라며 윽박을 질렀던 적이 있었다. 발달장애  특성에 대한 이해를 받기 어렵다 보니 시설 이용이 부담스럽다."

 

유엔아동권리협약 제31조
지구촌 아동 인권법!

아동은 휴식과 여가를 즐기고 자신의 연령에 적합한 놀이와 오락활동에 참여해 문화생활과 
예술에 자유롭게 참여할 권리가 있다!

 

 

모든 어린이의 놀 권리를 보장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현재 실내·외 놀이기구의 시설 기준을 개선해야 한다. 대부분의 놀이터는 비장애 어린이를 중심으로 설계되어 있기 때문이다. 

 

 


 

모든 어린이에게 놀이의 장을 열어주는 무장애·통합 놀이터

 

초록숲 통합놀이터(서울 노원구)

 

턱이 없는 회전무대는 유모차, 휠체어도 쉽게 접근 가능하다
혼자 탈수 없는 아이들을 어른과 함께 탈 수 있도록 만든 넒은 미끄럼틀
휠체어, 유모차도 오를 수 있는 트램펄린

 

 

서울 어린이 대공원

 

서울어린이대공원놀이터
서울어린이대공원 회전무대, 누구나 안전하고 쉽게 탈 수 있다.
서울어린이대공원놀이터
서울어린이대공원 조합놀이대, 내부까지 경사로를 설치했고 미끄럼틀, 조작놀이 등의 접근성을 높혔다.
서울뚝섬의 놀이터
서울 뚝섬의 놀이터, 키가 작은 어린이도 휠체어 사용 어린이도 모래를 갖고 놀수 있다.

 

 

일본의 공원 놀이터

일본의 한 공원 놀이터, 흔들놀이기구에 경사로가 설치되어 있어 다양한 아이들이 이용한다
흔들놀이기구에 경사로가 설치되어 다양한 아이들이 이용가능하다.
다양한 형태의 플랫폼을 통해 놀이시설을 이용하도록 고려했다.
다양한 형태의 플랫폼을 통해 놀이시설을 이용하도록 고려했다.
휠체어 이용 아동들이 좀 더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는 시설도 있다
편리한 접근성을 확보하기 위한 시설들이 갖춰져있다.
앉아서 씻어야 하는 아동을 위한 벤치를 설치했고 수도꼭지의 형태도 다양하다.

 

 

모든 놀이터는 통합 놀이터여야 한다.
통합은 장애인의 권리인 동시에, 장애인이 비장애인과 동등하게 사회참여를 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장애 어린이와 비장애 어린이 모두 동등한 주체로서 놀이터에 접근하고 놀이에 참여하는 것을 의미한다.

 


 

 

무장애 놀이터(실내) 매뉴얼 소개

아름다운 재단과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시민연대에서 제작

 

 

 

무장애 실내놀이터 매뉴얼 목적

 

  • 무장애 실내놀이터의 의미와 방향을 제시하여 무장애 실내놀이터 설치 모델을 제시한다.
  • 무장애 실내놀이터의 건립 시 기획부터 시공까지 일반인, 기관, 공무원, 놀이터 디자이너 등 누구나 쉽게 참고할 수 있고 완성 후 검증할 수 있는 기준을 제시한다.
  • 무장애 실내놀이터의 설계는 이용자 중심의 참여디자인이 필수이기 때문에 국내외 실내놀이터 현황, 이용자 설문조사 및 심층 인터뷰를 통해 이용자 중심의 디자인 매뉴얼을 제시한다.
  • 무장애 실내놀이터의 공간 및 시설물의 기준을 제시하여 현장에서 이용하고 활용하기 쉽도록 제시한다.

 

 

무장애 실내놀이터 매뉴얼 활용방법

 

  • 무장애 실내놀이터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사회적으로 인식시켜 무장애 실내놀이터 환경 조성 및 장애 아동 놀 권리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 형성할 수 있는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 무장애 실내놀이터 디자인 기획, 설계, 시공, 관리 운영 등을 준비하는 모든 분들에게 어떻게 시작하고 준비할지를 알려주는 안내서의 역할을 한다.
  • 무장애 실내놀이터를 계획할 때 필요한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여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자 한다.

 

 

아름다운재단-무장애-실내놀이터-매뉴얼.pdf
12.99MB

 


 

 

 

 

THE BEAUTY OF LIFE!_삶의 묘미

삶의 묘미는 어떤 것일까요? 다양한 주제를 이야기 합니다!

thebeautyoflife.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