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47)
[책] 엄마라고 불러줘서 고마워 by 스기모토 미카(자폐증아들을ABA로치료한엄마의감동실화) 첫 만남_엄마라고 불러줘서 고마워 저의 아들의 자폐 판정을 받고 혼란스러웠던 당시 조금의 희망과 방향을 제시해 주었던 첫 번째 자폐 관련 책 "엄마라고 불러줘서 고마워"를 소개하려고 합니다. 엄마라고 불러줘서 고마워! "엄마" 쉽게 말하고 흔히 듣는 말이지만 누군가에게는 간절한 소망입니다! 가장 먼저 이 책을 선택한 이유는 책의 작가인 스기모토 미카의 실제 경험담을 소개해주기 때문이었습니다. 자폐 아들을 둔 작가가 냉혹한 현실 속에서 ABA라는 생소한 치료법에 승부를 걸었고, 아이의 성장과 함께 시행착오를 겪으면서 희망을 버리지 않았던 모습들이 큰 울림으로 다가왔습니다. 읽기 전, ABA란 무엇인가?_엄마라고 불러줘서 고마워 아이가 '스스로 배우는 법'을 배우도록 돕는다. ABA란 Applied Beha..
복지로_장애인, 영유아, 임신출산 등 편리한 복지 혜택 확인 및 신청 사이트 복지로 소개_대한민국 대표 복지 인터넷 사이트/https://www.bokjiro.go.kr/ssis-tbu/index.do 복지로는 각 부처의 복지서비스 정보를 모아 한눈에 볼 수 있도록 제공하고, 맞춤 검색에서 온라인 신청까지 실생활 중심의 복지 정보와 서비스를 제공하는 대한민국 대표 복지사이트입니다. * 임신출산, 영유아, 아동청소년, 노년, 장애인, 한부모, 저소득층, 의료급여, 다문화가족, 요금감면 서비스 등 복지로 구성_대한민국 대표 복지 인터넷 사이트 회원 가입 및 간편 인증으로 로그인할 경우 위와 같이 복지로 메인 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습니다. 주요 제공 서비스 내용으로 복지 서비스, 서비스 신청, 복지도음, 복지지도, 복지신고, 그리고 맞춤형 급여안내(복지멤버십)가 있습니다. 1. 복지 ..
[책] 다르지만 다르지 않습니다 by 류승연 첫 만남_다르지만 다르지 않습니다. 류승연 작가의 "사양합니다, 동네 바보형이라는 말"을 읽고 난 후 작가의 의견, 생각에 전적으로 공감하게 되었습니다. 바로 작가의 또 다른 책이 있는지 찾아보았고 운 좋게 이 책을 발견하였습니다. 구매 후 표지를 보자마자 이 책의 주제 또한 알 수 있었는데요. 그것은 "장애인과 어우러져 살아야 하는 이유"였습니다. 첫 번째 책은 현재 장애인과 장애인 가족들이 경험하고 있는 현실에 대한 전달이었다면은 이 책은 장애인과 우리는 앞으로 어떻게 살아가는 것이 맞는지에 대한 작가의 진솔한 이야기가 담겨 있습니다. 이 주제에 대한 고민도 꼭 필요했던 저였기 때문에 감사한 마음을 가지면서 책을 읽을 수 있었습니다. [여는 글_우리는 함께 살아야 해요] 장애인을 장애인이 아닌 단지 ..
[책] 사양합니다, 동네 바보 형이라는 말 by 류승연 첫 만남_사양합니다, 동네 바보 형이라는 말 아들의 장애를 알게 된 후 2년 정도의 시간이 지났을 무렵 우현히 한 신문에서 류승연 작가가 연재하는 기사를 보게 되었습니다. 당시 아들의 문제로 수많은 고민과 생각을 하고 있었던 상황에서 그 기사 내용들은 나에게 필요했던 그런 이야기들을 하고 있었습니다. 계속 관련 기사를 찾아서 보던 중 류승연 작가의 책 "사양합니다, 동네 바보 형이라는 말"을 알게 되었습니다. 처음 책 제목을 봤을 때는 약간의 불편함도 느끼기도 했지만 그만큼 류승연 작가 특유의 매력을 알 수 있는 문장이라고 생각했었습니다. 류승연 작가가 이 책을 집필할 수 있었던 한 가지 이유는 장애 아이를 가진 엄마로서 살아가고 있기 때문입니다. 책에서 전달하는 것_사양합니다, 동네 바보 형이라는 말 ..
발달장애를 가진 자녀를 위해 부모가 할 수 있는 일 발달장애란? [발달장애인 권리보장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제2조(정의)] 1. 발달장애인이란 장애인복지법 제2조 제1항의 장애인으로서 다음 각 목의 장애인을 말한다. 가. 지적장애인: 정신 발육이 항구적으로 지체되어 지적 능력의 발달이 불충분하거나 불완전하여 자신의 일을 처리하는 것과 사회생활에 적응하는 것이 상당히 곤란한 사람 나. 자폐성장애인: 소아기 자폐증, 비전형적 자폐증에 따른 언어/신체표현/자기조절/사회적응 기능 및 능력의 장애로 인하여 일상생활과 사회생활에 상당한 제약을 받아 다른 사람의 도움이 필요한 사람 일반적인 의미의 발달장애는 신체적인 발달 장애라기보다는 정신적인 발달 장애를 말하는데 일반적으로 지적장애/뇌성마비/자폐성 장애(자폐증, 아스퍼거 증후군, 기타 광범위성 발달장애)를 발달장애..
내 아이가 발달 장애를 가진 장애인이 된다면 시작 2017년 겨울 전혀 예상하지 못 했던 소식을 듣게 되었습니다. 30개월이 되어도 말을 못했던 아들이 자폐 스펙트럼 장애 판정을 받았기 때문입니다. 자폐 스펙트럼 장애가 뭐지? 처음에는 모든게 낯설고 생소했기 때문에 시간이 모든 것을 해결해 줄 거라 믿었습니다. 하지만 갈수록 슬픔과 절망 속으로 들어가게 되었습니다. 그 당시 무엇을 어떻게 해야 되는지, 살아가야 하는지가 의문이 들어 발달장애와 관련된 많은 영상들을 찾아서 보게 되었습니다. 그 후 2가지 확실한 사실을 발견하였습니다. 발달장애인과 그 가족들의 슬픔과 불행한 현실 한국 사회에서 더욱 힘들어하는 그 가족들의 모습 * 나도 저렇게 불행하게 살아가는 것인가? * 도대체 어떻게 저런 상황에서 국가의 도움 없이 살아왔던 것일까? * 내가 저 상..
한국에서 장애인으로 살아 간다는 것은? 외국인이 바라보는 시각: 한국에서의 장애인 작년 장애인의 날을 기념하여 외국인을 대상으로 진행한 길거리 인터뷰 영상을 보게 되었습니다. 미국, 스웨덴, 이탈리아, 영국, 네덜란드, 캐나다 출신의 다양한 외국인들과 장애인 관련 하여 이야기하였습니다. 대부분 한국에서 일정 시간 이상 지냈거나 경험이 있는 외국인들과 진행하였습니다. ※ 총 3가지 질문에 대한 대화를 이어나갔습니다. Q1. 자국에서는 장애인을 쉽게 볼 수 있나요? 응답자 모두 "Yes" Q2. 한국에서는 장애인을 본 적이 있나요? 응답자 모두 "NO, Not very often" Q3. 왜 한국에서는 장애인을 보기 힘들까요? - 장애인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과 잘못된 사회적 편견 때문에. - 불편한 시선 때문에 다른 가족들이 밖으로 나오지 않는다..